
E-SPORTS 게임이란 무엇인가?
E-sports게임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볼까요?
E-SPORTS는 일렉트로닉 스포츠(Electronic Sports)의 줄임말로 1990년에 컴퓨터가 일상화 되기 시작하면서 다양한 비디오게임 출시로 e-스포츠가 발전하기 시작했습니다. 1998년 국내에서 스타크래프트가 출시되면서 선풍적인 e스포츠 바람이 불었고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가 등장하며 e-스포츠의 국내 시장 규모는 급속도로 성장했습니다. E-SPORTS 게임 장르는 RTS, RPG, FPS 등 다양하며 인기 게임은 리그오브레전드(롤), 오버워치, 배틀그라운드, 스타크래프트 등이 있습니다.
E-SPORTS 규모
E-sports에서는 WCG, IEM 등 다양한 주요 대회가 매년 세계에서 개최되고 있습니다. 2019년 국내 e-스포츠 규모는 1,398억원으로 전세계의 16%정도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대한민국은 현재 세계적으로 실력 있는 e스포츠 선수를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습니다. 현재 국내에서는 다양한 E-sports 게임 리그가 진행 중에 있으며 1인 개인 방송 플랫폼인 아프리카tv, 트위치 등에서 E-스포츠의 인기가 상당히 많으며 하루 유동 인구가 10만명을 넘어갈 정도로 큰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E-SPORTS 역사
1997년 미국의 Dennis Fong이 최초로 공식 프로게이머로서 인정 받았는데, 당시 게임 토너먼트 우승 상금과 함께 페라리를 받아 유명세를 얻었습니다. 하지만 이때까지만 해도 게임 리그는 게임을 홍보하기 위한 마케팅일 뿐 e-스포츠의 개념은 없었습니다. 하지만 이듬해 한국에 스타크래프트가 출시됐으며, 국내에서는 PC방이 생겨나기 시작하면서 그때부터 E-SPORTS가 시작한 출발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E-SPORTS 리그의 출발점
1997년 미국에서는 PGL(Professional Gamers League)이라는 세계 최초의 게임 리그가 생겼으며, 9월 미국 블리자드가 만든 스타크래프트로 첫 대회를 열었습니다. 스타크래프트는 1998년 한국에 정식 상륙했고 1999년 국내 첫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인 KPGL이 생기며 엄청난 인기를 끌었습니다. 한국은 세계 최초로 E-스포츠 대회(스타크래프트)를 방송으로 송출 했습니다. 한국의 E-스포츠는 게임 전문 방송사들의 발전과 함께 한국프로게임협회(KPGA) 공식리그가 개최되며 빠르게 성장을 이어갔습니다.

E-스포츠 성장 속도
E-sports는 처음 시작부터 현재까지 무서운 속도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e-스포츠 부문은 누구도 상상하지 못했던 속도로 빠르게 성장해왔으며 현재는 연평균 성장률 10%의 연간 1,750억 달러 규모의 비즈니스 사업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뉴주(Newzoo)에 따르면, 2018년 1,380억 달러였던 전 세계 게임 연 매출은 8%에 가까운 연간 성장률을 기록하며 2023년에는 2,000억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 됩니다. 이는 연간 전 세계 박스오피스 수익, 음악 스트리밍 및 앨범 매출, 자산 규모 상위 5개 스포츠 리그의 수익을 모두 합한 것보다 많은 수준입니다. 이러한 격차는 코로나 팬데믹 기간 동안 더욱 커졌는데, 이는 전통적인 미디어 및 스포츠 자산(sports properties)이 회복에 어려움을 겪는 동안 E-sports 게임은 계속해서 성장했기 때문입니다.
E-스포츠 프로게이머의 위상
E-스포츠 게임은 플레이어들이 상금 및 세계적인 인정을 받기 위해 서로를 상대로 개인전 및 팀전을 통해 경기를 진행하는 것입니다. 수 많은 e-스포츠 선수들이 프로 운동선수 급의 명성과 보상 수준에 도달했으며, 유명한 E-스포츠 프로게이머의 평균 연봉이 1억이 넘는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리그오브레전드에서 기발한 전략으로 팀을 우승으로 이끄는 SK T1의 미드 라이너 페이커(이상혁)의 연봉은 30억 이상으로 추정되며 전 세계 통틀어 1위의 연봉을 받는다고 볼 수 있습니다. 연봉 외에도 스킨 라이선스, 스트리밍 수익(팀 또는 개인), 스폰서쉽, 상금, 광고 모델료 등 여러 채널에서 부가적인 수입을 얻고 있습니다.
E-스포츠 전망
e-스포츠가 스폰서에 기대는 수익 구조에 대한 부정적 평가도 적지 않지만, 주류 문화로 편입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입니다. 전 세계 e-스포츠 시장 규모는 2022년에 3조 3000억 수준에 달할 것으로 보입니다. 2018년 기준 시장 규모는 1조 219억 수준으로, 연평균 27%에 달하는 높은 성장률이 기대되고 있으며, 2022년 항저우 아시안게임부터는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며, 2024년 파리 올림픽의 정식 종목으로 논의한다는 소식도 흘러나오고 있습니다.
E-스포츠를 바라보는 부정적인 시선
e-spotrs를 바라보는 시선이 정식 스포츠라고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스포츠는 기본적으로 신체(몸)를 사용해야 한다는 관점에서 e-스포츠에 대한 부정적인 시선이 많습니다. 신체적 한계를 뛰어넘기 위해 단련하는 일반 스포츠 선수들과 같은 스포츠 선수로 보기 어렵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바둑과 같이 신체 활동이 적지만 스포츠로 인정받는 종목도 있는데 반해, 신체 활동이 많지만 각본이 쓰여 스포츠로 보기 어려운 WWE(프로레슬링)도 있습니다. 스포츠를 단순히 신체 활동으로 구분하기에는 스포츠 정신과 같이 다양한 개념이 복합적으로 포함되어 있다는 의견도 존재하고 있습니다.

E-SPORTS 게임 종류
E-스포츠의 게임 종류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E-스포츠게임은 다양한 게임들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사설토토사이트에서는 다양한 e-스포츠 종목을 배팅 종목으로 추가하여 유저들에게 서비스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가장 대표적인 게임이 스타크래프트, 리그오브레전드입니다. 다양한 게임 중에서도 리그오브레전드는 e-스포츠 게임을 제공하는 사설업체라면 무조건 제공하는 서비스 게임입니다. 회원님들이 E-스포츠 게임에 배팅을 하려고 하실 경우에 어떤 종류가 있으며 어떤 종목에 배팅을 해야할지 고민이라면 저희가 알려 드리는 정보를 바탕으로 원하시는 종목을 선택해서 배팅 해보시기 바랍니다.
E-스포츠 주요 종목
- RTS(Real-Time Strategy): 대표적으로 스타크래프트가 있으며, 실시간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을 말합니다.
- RPG(Role-Playing Game): 각 플레이어가 게임 관리자의 주관 하에 각자 캐릭터를 맡아 연기하며 진행하는 게임입니다.
- FPS(First Person Shoote): 1인칭 슈팅 게임으로, 게임상의 3차원 공간에서 총과 같은 발사 무기로 적을 공격하는 장르의 게임입니다.
- AOS(Aeon of Strife): RPG와 RTS가 결합된 실시간 공성 게임으로, 플레이어가 캐릭터 선택하여 영웅을 강화 시킨 뒤 상대방 진영을 파괴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 대전격투게임(Fighting Game): 1:1 또는 그 이상의 플레이어가 서로 대전하는 종목을 말합니다.
E-스포츠 인기 게임
- 스타크래프트(StarCraft) : 1:1 개인전 게임으로 1998년 첫 출시 되었을 때 전세계 판매량의 40%가 한국 판매량일 정도로 인기가 많았습니다. 개성이 뚜렷한 세가지 종족의 균형과 전술을 다양하게 펼칠 수 있는 것이 인기 비결이었으며 현재 아프리카tv 플랫폼에서는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 리그오브 레전드(롤, LOL) : 라이엇게임즈가 개발한 게임으로 현재 전세계에서 많이 하는 게임 중 하나이며 국내에서는 리그가 계속해서 열리고 있고 매년 세계 대회가 열리고 있습니다.
- 오버워치 : 2016년 출시된 FPS 게임으로 개성이 넘치는 다양한 캐릭터가 인기 비결이었습니다.
- 배틀그라운드 : 밸브에서 일본의 소설 배틀로얄을 모티브 하여 만든 AOS게임으로, 여러 사용자가 싸워서 마지막까지 살아남은 사람이 이기는 게임입니다.
- 도타2 : 밸브사의 게임으로 5명씩 두팀이 참여 가능하며 109명중 하나의 영웅을 골라 플레이 합니다. 체력이 좋은 캐릭터가 많아 초보자가 하기에 좋은 게임입니다.

E-SPORTS 배팅 가이드
E-스포츠에 배팅하는 방법 및 가이드에 대해 배워보자.
저희 토신사에서는 초보 분들도 쉽게 배팅할 수 있는 E-스포츠 배팅 가이드 및 노하우를 알려 드리고자 합니다. 회원님들은 저희가 알려 드리는 방법이 100% 정답은 아니지만 참고를 하시면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지금부터 알려 드리는 노하우는 주관적인 판단으로 알려 드리는 내용이며 회원님들이 해당 내용을 보시고 얻어가도 될 만한 정보들만 습득을 해서 실제 배팅에 도움이 되시기를 바랍니다.
익숙한 E-스포츠게임에만 배팅할 것
E-스포츠 배팅 시에는 회원님들이 평소에도 잘 알고 있는 게임에 집중해서 배팅을 하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만약에 스타크래프트 게임에 익숙하시다면 회원님들이 게임을 보는 눈이 있기 때문에 어디가 더 유리하거나 불리한 점을 판단하실 수 있으며 게임이 어떤 방식으로 진행될지 보다 쉽게 예측할 수 있을 것입니다. 회원님들 입장에서 복잡한 게임들의 규칙 부분을 제대로 알고 있지 못하다면 어떠한 배팅 진행이 제일 좋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을지 알 수가 없기에 익숙한 게임에 배팅하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E-스포츠 출전 선수 정보 파악하기
카운터 스트라이크, 리그오브레전드(LOL), 오버워치(OverWatch)와 같은 E-스포츠 게임은 명백하게 팀 스포츠 종류이지만, 주요 프로게이머 선수들에 대해서 파악해보는 것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LOL의 T1 소속 Faker(페이커) 이상혁 선수나 coldzera의 마르셀로 데이비드 선수 같은 전설적인 프로게이머들이 각자 자신의 팀들을 위해서 경기에 최고의 능력을 보여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5:5 팀 게임이라 할지라도 한명이 일명 ‘캐리(Carry)’를 해버린다면 경기 흐름이 완전히 바뀌어 승리를 할 확률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E-스포츠 실시간배팅 활용하기
해당하는 경기가 시작된 이후에 E-스포츠 배팅을 진행하면 실제적인 경기와 실시간 배당률 부분이 일치하지 않기는 하지만 게임 흐름을 보면서 배팅을 할 수 있다면 승리 확률을 좀 더 높아지게 될 것입니다. 현재 모든 사설업체에서 e-스포츠 게임을 실시간배팅 서비스를 지원하는 곳이 많지 않기에 배팅하는 곳을 찾는 것이 어렵겠지만 e-스포츠 실시간 라이브배팅 서비스를 지원하는 곳을 이용 중이시라면 경기 흐름을 잘 파악하시고 해당 경기 중 배팅을 하는 것도 나쁘지 않은 배팅 방법입니다.
E-SPORTS 게임에 대해 마치면서…
예전에는 일반 스포츠경기에 배팅을 하시는 분들이 많았지만 최근에는 토토사이트에서 가상게임이나 E-스포츠게임에 배팅을 하는 분들도 상당히 많아졌습니다. 회원님들 입장에서 어떤 게임에 배팅을 하더라도 수익을 낼 수 있다면 좋을 것이기에 E-SPORTS 게임에 배팅을 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입니다. 위에서도 이야기를 드렸지만 일반적인 축구, 농구, 야구는 익숙하기에 배팅을 하더라도 쉽게 게임을 이해할 수 있지만 e-스포츠는 기본 지식이 없다면 배팅을 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반드시 게임에 대한 숙달을 하신 다음 배팅하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